본문 바로가기

뇌과학

동기와 중독(3) 중독, 그냥 나쁜 습관은 아니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도파민보상회로는 우리가 어떤 욕구를 충족 시켰을 때 즐거운 감정과 행복감을 느끼면서, 반복하도록 하는 뇌 회로이다. 도파민이 도착하는 뇌부분이 계속해서 더 많은 도파민을 보내달라고 요구하면, 우리는 특정행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 상태가 과도하게 지속되는 것이 ‘중독’이다. 술과 담배를 포함한 약물이나, 쾌감을 느끼게 하는 행동(아주 달거나 지방이 듬뿍 든 음식, 게임, 과도한 성관계나 운동, 도박)에 대한 인위적인 보상은 자연적인 보상보다 2~10배 많은 양의 도파민을 분비시킨다. 

 

그래서 자극적인 즐거움을 계속 느끼게 되면서, 기본적인 욕구가 주는 일상의 즐거움(자연 보상)이 밋밋하게 느껴지게 된다. 중독을 조금 더 크게 나눠 보면 뭔가를 몸에 넣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있다. 마약, 담배, 알코올, 단 것을 찾는 것들은 물질 자체를 계속 찾게 되는 것이다. 행위에 대한 개념은 비교적 최근에 등장 했다. 또 어떤 중독은 특정한 행동을 하면서 일어난다. 인터넷, 도박, 쇼핑, 게임 등 몸을 움직여서 어떤 행위를 하면서 즐거움을 찾을 때를 이야기 한다. ‘중독’의 의학적 정의는 ‘어떤 화학적 물직 또는 행동에 대해 개인의 조절이 불가능한 상태’를 이야기하는데, 사실 원인 구분과 상관없이 중독으로 인해 삶의 기능이 영향을 받고, 사회적 · 개인적 생활에 영향을 받는다면 의학적 치료가 필요하다. 우리가 좀 더 생각해 보아야 할 점은, 중독이 개인의 의지만으로는 해결 할 수 없는 병, 뇌질환이라는 점이다. ADHD(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로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증상으로 보이는 정신질환으로 대개 초기 아동기에 발병한다.)처럼 선천적으로 도파민 활성이 부족한 사람이 있다. 이 사람들은 즉각적인 보상을 느낄 수 있는 자극적인 일에 집중한다. 도파민 분비가 당장 부족하니, 도파민을 급격하게 분비하는 일을 찾고 일반 사람들보다 중독에 쉽게 빠질 가능성이 크다. 또한 알코올 중독과 같은 약물 중독의 경우도, 유전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일란성 쌍둥이와 이란성 쌍둥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일란성 쌍둥이가 동일한 약물에 중독 현상을 보인 경우가 많았다. 약물 중독뿐 아니라 SNS, 컴퓨터, 게임 등 행위 중독 역시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연구도 있었다. 연구자들은 이렇게 사람들이 특정 유전 정보에 따라 행동이나 질병에 취약하지는 않은지 관심이 많다. 그렇다면 우리는 내 유전자가 이런 문제가 있으니, 절망해야만 할까? 일단 내 뇌의 특성을 알았다는 사실에 한번 기뻐해 볼 필요가 있다. 어떻게 위험한 상황을 피할지, 보완할지, 또 어떻게 극대화를 할지 알아내보자. 자신에 대해 알아가는 것은 MBTI만큼 재미있을 것이다. 미국의 행동 분석학자 대니얼 Z. 리버먼은 그의 저서 ‘도파민형 인간’에서 도파민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우리는 미치광이이자 천재, 중독자이자 창조자가 된다고 이야기한다. 도파민은 쾌락과 스릴을 추구하는 ‘욕망 회로’와 미래의 목표를 위해 현재를 인내하는 ‘통제 회로’에 모두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이것을 잘 활용하면 우리를 성공으로 이끌기도 한다고 말한다.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순간의 즐거움을 만끽하는 것’과 ‘미래를 위해 현재의 고통을 감내하는 것’ 모두가 필요한 만큼, 이 둘 사이의 균형을 잘 유지해 나가는 것이,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유지해나가는 첫 단계인듯하다.

 

 

<중독 Reference>

  1. Are video games and screens another addiction?, Mayoclinic Health System

https://www.mayoclinichealthsystem.org/hometown-health/speaking-of-health/are-video-games-and-screens-another-addiction

  1. “This is What Digital Addiction Looks Like” by Marguerite Darlington

https://www.rewire.org/digital-addiction/

  1. 스마트 쉼 센터

https://www.iapc.or.kr/

  1. ‘중독과 보상회로’, 중독 바로알기, 국립 부곡 병원

http://bgnmh.go.kr/checkmehealme/bbs/bbsView.xx;jsessionid=HJT4jeMsBYhZSp40g1BYVjhZXz0m1evBAXKFvu4P8x1itGn8U0jmq8MoaPIj7tRV.mohwwas2_servlet_engine27?catNo=14&idx=39

  1. ‘도파민형 인간’, 리디북스

https://ridibooks.com/books/1648000244

  1. Addiction and Recovery 

https://www.addictionsandrecovery.org/is-addiction-a-disease.htm

  1. ‘Twin Studies Help Define the Role of Genes in Vulnerability to Drug Abuse’, NIH National Institution on Drug Abuse, Advancing Addition Science
  2. ‘<학습부진 클리닉> ⑧ 탐닉경향과 중독’, 한국교육신문
  3. The Genetics of Alcoholism’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No. 18 PH 357 July 1992

https://pubs.niaaa.nih.gov/publications/aa18.htm

  1. ‘Drug Addiction and Abuse: Is it Disease or a Choice?’, American Addiction Center

https://americanaddictioncenters.org/rehab-guide/is-drug-addiction-a-disease

  1. ‘스마트폰 중독에서 벗어나는 방법’, 정신의학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