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Annotation Tech Recruit 진짜 일까? (1) (Data Annotation Tech Recruiting Message in LinkedIn)
Linked 인에 계속 이런 메신저가 왔다...
지원 버튼을 눌렀다.
이 단계를 넘어가면, 신분증 인증을 거치는데 나는 운전면허증의 주민번호 뒷자리를 가린채 신분증을 올렸다....
되더라...!
그리고 나면 얼굴을 스캔하는 화면을 띄워준다...
그게 끝나고나면, 네 문제를 보여주는데
1. 화산
2. 시
3. 메일
4. 자기소개 및 배경 설문의 네 단계를 거치고 나서 심사를 기다리게 된다...
한번 심사가 끝나고 어떻게 되는지 보자!
[아래는 chatgpt 답변]
https://chatgpt.com/share/67c9a12b-a638-8002-afc7-7f7228335f16
데이터 어노테이션으로 벌 수 있는 돈은 여러 요인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아래 몇 가지 주요 변수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작업 형태
- 프리랜서/플랫폼 작업:
온라인 플랫폼이나 프리랜서 형태로 작업할 경우, 보통 시간당 수익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일부 플랫폼에서는 시간당 몇 천원에서 몇 만원까지 벌 수 있으며, 작업의 난이도와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 정규직/계약직:
회사에 소속되어 정규직 또는 계약직으로 일하는 경우, 연봉이나 월급 형태로 보수를 받게 됩니다. 이 경우 초보자의 경우 연봉이 상대적으로 낮게 시작할 수 있지만, 경험이 쌓이고 전문성이 높아질수록 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지역 및 시장 상황
- 국내 vs 해외: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시간당 보수가 프리랜서 작업의 경우 몇 천원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해외(특히 미국, 유럽 등)에서는 시간당 10~20달러 이상의 보수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수요와 경쟁:
데이터 어노테이션 작업은 AI 및 머신러닝 분야의 수요 증가에 따라 꾸준히 늘고 있지만, 동시에 작업자 수가 많아지면 경쟁도 심화될 수 있습니다.
3. 업무의 난이도와 전문성
- 단순 태깅 vs 복잡한 어노테이션:
이미지, 텍스트, 음성 데이터 등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가 있으며, 작업 난이도와 필요로 하는 전문성이 다릅니다. 단순한 태깅 작업은 보수가 낮을 수 있지만, 도메인 지식이나 전문 기술이 필요한 경우 더 높은 보수를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
따라서, 데이터 어노테이션으로 얻을 수 있는 수입은 작업 형태, 지역, 업무 난이도, 경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프리랜서의 경우 시간당 몇 천원에서 몇 만원, 프로젝트 단위로는 수십만 원에서 수백만 원에 이르는 보수를 받을 수 있으며, 정규직의 경우 연봉이 2,000만원에서 시작해 숙련도에 따라 3,500만원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자신의 경력과 전문성을 고려해 적합한 작업 형태와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의 말:
여러 자료들을 종합해보면, app.dataannotation.tech(또는 dataannotation.tech)는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회사로 보입니다. 도메인 등록 날짜(2021년 6월 4일)와 유효한 SSL 인증서, 그리고 몇몇 긍정적인 사용자 후기들을 보면 실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부 리뷰 사이트나 포럼에서는 지급 문제나 소통의 어려움 등 부정적인 평가도 나오고 있으므로, 이용 전에 충분한 조사와 주의가 필요합니다.
즉, "진짜 있는 회사"라고 볼 수 있지만, 플랫폼 이용 시 자신의 조건과 경험에 맞게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